조명우, 포르투 3쿠션 당구월드컵 우승... 세계 1위 탈환
작성자 정보
- 럭키라운지 작성
- 작성일
본문
[서울=뉴스핌] 박상욱 기자 = 한국 3쿠션 간판 조명우(서울시청·실크로드시앤티)가 세계 당구월드컵 정상에 복귀하며 세계랭킹 1위 자리에 다시 올랐다.
조명우는 6일(한국시간) 포르투갈 포르투에서 열린 2025 포르투 3쿠션 당구월드컵 결승에서 제레미 뷰리(프랑스)를 23이닝 만에 50-34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22년 12월 샤름엘셰이크 대회 이후 2년 7개월 만의 우승이자 통산 두 번째 월드컵 타이틀이다.
전반 중반까지 끌려가던 조명우는 11이닝에서 20-20 동점을 만든 뒤 곧바로 역전에 성공했다. 후반에만 하이런 8점을 포함해 21점 차까지 벌리는 집중력을 보였다. 49점으로 챔피언십 포인트에 1점 남겨둔 채 21~22이닝에서 공타에 그친 조명우는 23이닝에서 비껴치기로 마지막 1점을 보태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번 대회 우승으로 랭킹포인트 80점을 추가한 조명우는 종전 1위 딕 야스퍼스(네덜란드)를 제치고 세계랭킹 1위에 복귀했다. 조명우는 지난해 세계선수권 우승으로 한국 선수로는 최성원에 이어 두 번째로 세계 정상에 오른 바 있으며 이번 대회로 2023년 10월 이후 다시 세계 1위에 올랐다. 아울러 김행직(3승), 허정한(2승)에 이어 한국 선수로는 세 번째 3쿠션 월드컵 다승자에 이름을 올렸다.
조명우는 조별리그에서 2승 1패로 B조 2위에 올라 16강에 진출한 뒤 톨가한 키라즈(튀르키예)를 완파하며 8강에 올라 최대 고비인 세계 랭킹 4위 에디 멕스(벨기에)와 만났다. 조명우는 15점짜리 하이런을 기록하며 역전승을 거두고 이번 대회 돌풍을 일으킨 괴크한 살만(튀르키예)을 준결승을 치렀다. 예선을 통과해 본선에 오른 살만은 8강전에서 '당구 황제' 프레데릭 쿠드롱(벨기에)을 50-44(28이닝)로 꺾으며 처음 월드컵 준결승에 올랐다. 조명우는 다소 긴장한 살만을 22이닝 만에 50-24로 완파하고 통산 5번째 당구월드컵 결승 무대에 올랐다.
준우승을 차지한 뷰리는 16강에서 김행직, 8강에서 세르히오 히메네스(스페인)를 물리치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5일 밤 10시에 치른 마르코 자네티(이탈리아)와 준결승에서 2시간 30분에 달하는 대혈투 끝에 50-49로 1점차로 간신히 이기고 결승에 올랐다. 하지만 단 1시간 휴식 후 6일 새벽 1시 반에 치른 조명우와의 결승에서는 중반 이후 체력 저하를 이기지 못하고 집중력이 떨어지며 조명우에게 완패했다.
세계 2위로 밀려난 딕 야스퍼스(네덜란드)는 조별리그에서 김행직에게 패한 뒤 마지막 경기에서 쿠드롱에게도 패하며 32강에서 탈락했다. 쿠드롱은 8강까지 진출했으나 '다크호스' 살만에게 덜미를 잡혀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조명우는 6일(한국시간) 포르투갈 포르투에서 열린 2025 포르투 3쿠션 당구월드컵 결승에서 제레미 뷰리(프랑스)를 23이닝 만에 50-34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22년 12월 샤름엘셰이크 대회 이후 2년 7개월 만의 우승이자 통산 두 번째 월드컵 타이틀이다.
전반 중반까지 끌려가던 조명우는 11이닝에서 20-20 동점을 만든 뒤 곧바로 역전에 성공했다. 후반에만 하이런 8점을 포함해 21점 차까지 벌리는 집중력을 보였다. 49점으로 챔피언십 포인트에 1점 남겨둔 채 21~22이닝에서 공타에 그친 조명우는 23이닝에서 비껴치기로 마지막 1점을 보태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번 대회 우승으로 랭킹포인트 80점을 추가한 조명우는 종전 1위 딕 야스퍼스(네덜란드)를 제치고 세계랭킹 1위에 복귀했다. 조명우는 지난해 세계선수권 우승으로 한국 선수로는 최성원에 이어 두 번째로 세계 정상에 오른 바 있으며 이번 대회로 2023년 10월 이후 다시 세계 1위에 올랐다. 아울러 김행직(3승), 허정한(2승)에 이어 한국 선수로는 세 번째 3쿠션 월드컵 다승자에 이름을 올렸다.
조명우는 조별리그에서 2승 1패로 B조 2위에 올라 16강에 진출한 뒤 톨가한 키라즈(튀르키예)를 완파하며 8강에 올라 최대 고비인 세계 랭킹 4위 에디 멕스(벨기에)와 만났다. 조명우는 15점짜리 하이런을 기록하며 역전승을 거두고 이번 대회 돌풍을 일으킨 괴크한 살만(튀르키예)을 준결승을 치렀다. 예선을 통과해 본선에 오른 살만은 8강전에서 '당구 황제' 프레데릭 쿠드롱(벨기에)을 50-44(28이닝)로 꺾으며 처음 월드컵 준결승에 올랐다. 조명우는 다소 긴장한 살만을 22이닝 만에 50-24로 완파하고 통산 5번째 당구월드컵 결승 무대에 올랐다.
준우승을 차지한 뷰리는 16강에서 김행직, 8강에서 세르히오 히메네스(스페인)를 물리치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5일 밤 10시에 치른 마르코 자네티(이탈리아)와 준결승에서 2시간 30분에 달하는 대혈투 끝에 50-49로 1점차로 간신히 이기고 결승에 올랐다. 하지만 단 1시간 휴식 후 6일 새벽 1시 반에 치른 조명우와의 결승에서는 중반 이후 체력 저하를 이기지 못하고 집중력이 떨어지며 조명우에게 완패했다.
세계 2위로 밀려난 딕 야스퍼스(네덜란드)는 조별리그에서 김행직에게 패한 뒤 마지막 경기에서 쿠드롱에게도 패하며 32강에서 탈락했다. 쿠드롱은 8강까지 진출했으나 '다크호스' 살만에게 덜미를 잡혀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1개